[CEO풍향계] 'AI개발 속도' 구광모…'미국투자 승부수' 정의선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기업 최고경영자들의 일거수일투족을 살펴보는 'CEO 풍향계' 시간입니다.<br /><br />인간 닮은 AI 개발에 나선 구광모 LG그룹 회장과 미국에 8조 투자 계획을 밝힌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소식을 배삼진, 한지이 기자가 전해드립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취임 4년 차, 시간이 지날수록 구광모 LG 회장이 그리는 LG의 미래가 점점 더 뚜렷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제조업 기반이던 LG가 소프트웨어 기업으로 탈바꿈한다는 건 상상하기 힘들었는데, 현실이 돼가고 있죠.<br /><br />인공지능도 그중 하나입니다.<br /><br />구 회장은 AI전담 싱크탱크인 LG AI연구원에 3년간 1억 달러, 우리 돈 1,130억 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혔죠.<br /><br />첫 시도는 '초거대 AI' 개발입니다.<br /><br />인간을 닮은 AI로, 이미지와 영상까지 이해하고 데이터 추론과 딥러닝 등 상위 1% 인간 전문가 수준의 학습과 사고, 판단 능력이 가능하다고 하네요.<br /><br />올 하반기 6천억 개의 파라미터를 갖춘 초기 모델을 공개할 예정이라는데, 현존 초거대 AI언어모델보다 연산 처리 규모가 1초에 9경 5천700조 번으로 3배 이상 크다고 합니다.<br /><br />㈜LG의 올해 1분기 영업이익도 1조 원을 넘어 지난해와 비교하면 87% 늘었습니다.<br /><br />구 회장 출범 이후 선택과 집중의 결과라는 평가로, 신사업 확장과 체질 개선에 속도를 내고 있는 만큼 향후 실적 향상에 대한 기대감도 더 높아지겠네요.<br /><br />현대차그룹이 미국에 8조 투자 계획을 밝혔는데, 노조는 달가워하지 않네요.<br /><br />정의선 회장은 어떤 선택을 할까요.<br /><br />미국 바이든 행정부는 전기차 등 그린뉴딜 사업에 1,000억 달러 규모의 보조금을 지원할 계획입니다.<br /><br />미국에서 전기차는 2025년 240만대, 2035년에는 800만대가 팔릴 것이라고 하죠.<br /><br />미국에서 전기차는 테슬라가 꽉 잡고 있는데, 최근 미국을 돌아본 정 회장은 아이오닉5와 EV6, 제네시스 전기차 모델을 내놔도 승산이 있겠다고 판단한 것이겠죠.<br /><br />당장 눈 앞에 펼쳐진 시장에 머뭇거릴 수는 없는 겁니다.<br /><br />하지만 노조의 반대가 예사롭지 않습니다.<br /><br />왜 천문학적인 돈을 그것도 신산업 격변기에 미국에 쓰냐는 얘기입니다.<br /><br />부품 인프라도 한국이 더 잘 갖춰져 있으니 국내 고용유지에 더 신경 쓰라는 요구죠. 틀린 말은 없습니다.<br /><br />로봇 기업 보스턴다이내믹스의 성과 도출과 도심항공모빌리티, UAM 역시 미국 하늘을 날게 하기 위해서 미국 사업 확장이 필수입니다.<br /><br />정 회장이 이런 고민을 어떻게 설득하고 조율할지 보겠습니다.<br /><br />우주는 새로운 승부처죠.<br /><br />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는 김동관 한화그룹 전략부문장 만나볼까요.<br /><br />올해 초 민간위성 제조업체인 쎄트렉아이를 인수하더니 3월에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한화시스템이 참여한 우주사업총괄팀 '스페이스 허브'를 만들었죠.<br /><br />팀장이 김 사장입니다. 불과 두 달 만에 또다시 100억 원을 들여 카이스트와 민간 최대 규모의 우주연구센터 설립에 나섰습니다.<br /><br />우주연구센터는 카이스트 연구부총장 직속으로 설립되고, 민간기업과 대학이 만든 우주분야연구센터로는 최대 규모라고 하네요.<br /><br />일단 저궤도 통신위성을 쏘아 올리는 게 목표입니다.<br /><br />정지위성과 달리 여러 개의 위성이 레이저로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고용량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하는 저궤도 위성은 6G 기술을 현실화하는데 반드시 필요한데요.<br /><br />2023년 첫 위성을 띄우는 것이 목표인데, 스페이스X를 키우고 있는 일론 머스크와 조만간 어깨를 나란히 하는 것을 볼 수 있을까요.<br /><br />적자에 빠진 삼성중공업을 구하라는 특명을 받고 올해 초 구원투수로 투입된 정진택 사장, 1분기 첫 성적표는 예상했던 대로 좋지는 않네요.<br /><br />매출은 1조5천700억 원, 적자는 5천억 원이 넘습니다.<br /><br />원자재인 후판 가격이 높아졌고 공사손실비, 재고자산인 드릴십 평가 손실 등이 반영된 건데요.<br /><br />수주 성적은 좋습니다. 초대형 컨테이너선과 고부가가치선박인 LNG선 등 42척을 수주해 올해 목표수주량을 60% 넘게 채웠습니다.<br /><br />당초 수주 목표금액도 8조8천억 원에서 10조2천억 원으로 높여 잡았습니다.<br /><br />정 사장의 큰 과제는 흑자경영입니다.<br /><br />6년 연속 적자에 빠진 삼성중공업을 어떻게 구해낼까가 과제입니다.<br /><br />비중이 큰 해양플랜트에서의 적자구조를 털어내고, 저가 수주도 벗어나야겠죠.<br /><br />당장 자본잠식을 피하기 위해 액면가 감액 방식의 무상감자와 1조 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추진할 계획인데요.<br /><br />과연 실적 부진의 늪을 탈출할 수 있을지 정 사장의 어깨가 무겁습니다.<br /><br />바이든 미 대통령 취임 후 첫 한미정상회담에 우리 기업인들도 대거 동행했죠.<br /><br />우리 기업들이 사활을 건 신산업에 대한 기회를 잡기 위한 노력들인데요.<br /><br />미·중 간 경제 안보 경쟁이 격화되는 상황에서 우리 기업들이 전략적 기회를 마련하는 계기가 되길 바랍니다.<br /><br />이번 주 CEO풍향계는 여기까지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